본문 바로가기

☆ 컴퓨터 관리 ☆/☞ 윈도우 강좌 ,·´″"☆

윈도우XP 통합CD를 만들기

1.통합 설치 CD에 대한 궁금증

 윈도우를 여러번 설치해본 사용자라면 윈도우 설치를 좀더 간편하게 할 수 없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정석대로 윈도우를 설치한다면 윈도우 CD를 삽입한 후 CD키 입력을 비롯한 여러번의 과정을 거치고, 서비스팩 설치 및 드라이버 설치 등을 해야 하는데, 이 정도의 설치 작업만 해도 상당한 시간이 흐른다.

필자가 이번에 소개할 nLite 프로그램은 이러한 과정을 통합시켜주고, 사용자의 입맛에 딱 맞는 윈도우 설치 CD를 제작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사실 윈도우를 새로 설치하는 것이 실제 윈도우 설치시간보다 보안패치 업데이트 등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만큼, 패치 등을 미리 받아서 윈도우 인스톨본에 통합시켜두면 훨씬 더 빠르고 편하게 윈도우를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 자신만 사용한다면 노턴 고스트나 Acronis Trueimage 처럼 시스템 전체를 이미지로 만들어 주는 기능이 더 편리할 수도 있지만, nLite도 nLite만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처음 윈도우 설치를 하게 되면 메신저 팝업창이 귀찮게 뜨는데 이 메신저 서비스 항목을 사용안함으로 할 수 있고,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의 버전을 변경 하거나 AVI, MPG, MPE, MPEG 파일 미리읽기 기능 제거, IE 브라우저에서의 동시 다운로드수를 10개로 늘리는 등 수정된 레지스트리로 윈도우를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윈도우 레지스트리에 지식이 많다면 이보다 더 다양한 설정을 해서 통합 설치CD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nLite가 만들 수 있는 운영체제 이미지 파일은 윈도우 2000, 2003/2003 64bit, XP/XP 64bit 운영체제이며 여기서는 윈도우 XP를 이용해 통합 CD 이미지로 만들어 보도록 하겠다.


프로그램 이름

nLite v1.0 RC 4

제작사 홈페이지

http://www.nliteos.com/

라이센스

프리웨어

다운로드

케이벤치 자료실

기타 요구 사항

.NET Framework v2.0 다운로드

2.nLite 설치 및 실행하기

 우선 nLite를 설치하기 전 확인할 사항은 시스템에 .NET Framework v2.0이 설치되어있어야 한다. 설치 과정은 용량만큼이나 간단하다.

▲ 설치화면 1

▲ 설치화면 2

▲ 설치화면 3

▲ 설치시 언어파일 에러가 난다면 그냥 무시를 선택하고 설치를 종료한다

nLite 설치 끝부분에 위 화면을 보듯이 언어파일 에러가 나는데, 프로그램 실행에는 전혀 영향이 없다. 그리고, nLite는 영어 이외에 한국어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를 지원한다. 그럼 nLite를 실행시키고 한글 인터페이스로 바꿔보도록 하자.

▲ Language에서 Korean을 선택

▲ 한글 인터페이스로 바뀐모습

nLite 프로그램의 장점이라면 모든 작업이 마법사 과정으로 진행된다. 한글 인터페이스로 바뀌었다면 다음을 선택해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도록 하자.

▲ 윈도우 설치 파일 폴더 선택

nLite의 첫 번째 과정인 윈도우 설치 파일이 저장된 폴더 선택화면이다. 필자는 XP CD 설치 파일들을 D드라이브 TEST란 폴더에 복사를 한 후, 이 폴더를 선택했다.

▲ D드라이브 TEST 폴더로 XP 설치 파일 복사 후 가져오기 선택

필자가 TEST로 파일들을 복사한 후 가져오기를 클릭하자 XP 설치파일의 정보와 언어, 경로, 크기, 남은 용량등의 간단한 정보를 보여줬다.

▲ Presets 선택 화면

▲ 이전에 작업했던 세션을 다시 사용할 수 있다.

Presets 선택화면은 이전에 nLite를 이용해 통합 설치 CD 이미지를 만든적이 있을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nLite를 처음 사용한다면 다음 과정으로 그냥 넘어가도록 하자.
3.nLite 작업 선택 1

▲ 작업 선택 화면

작업 선택화면은 nLite의 가장 핵심적인 기능들이 있는 곳으로, 서비스팩 통합, 핫픽스 및 업데이트, 드라이버 통합, 구성요소 제거, 무인 설치, 옵션, 패치, 트윅 등의 기능들을 마법사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다. 필자는 서비스팩 통합과 구성 요소 제거, 무인 설치, 옵션, 패치, 트윅 등을 체크하고 다음 과정으로 넘어갔다. (참고: XP 서비스 팩 2에 중요 보안패치들이 포함 되어 있으므로 따로 핫 픽스를 포함시킬 필요는 없다. 서비스팩 2에 중복되는 보안패치들도 있을 것이고, 보안패치 종류들이 워낙 많으므로 이후에 사용자가 필요한 패치만 설치하는 것이 좋다.)

▲ 서비스 팩 2 통합

위 화면은 서비스팩을 통합하는 화면으로, 서비스팩 1이나 2 둘중에 하나를 미리 다운로드받아 하드디스크로 저장한 후 통합하는 것이 좋다. 주의할 점으로는 서비스팩 1개만 통합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팩 1 이나 2중에 하나만 통합시킬 수 있다.

▲ 서비스 팩 2 통합 완료

▲ 구성 요소 제거

구성 요소 제거에서는 설치본에서 제거할 구성 요소(네트워크, 드라이버, 멀티미디어, 서비스, 언어, 운영체제 옵션, 응용프로그램, 하드웨어, 폴더)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사항은 왼쪽 트리에 나열된 구성 요소들 빨간색 표시로 된 요소들은 삭제해서는 안되는 구성 요소들로, 윈도우의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그렇다고 빨간색 표시가 안된 구성요소들은 아무렇게나 삭제를 해도 되는 것도 아니며, 이 구성요소들은 윈도우에서 기본 지원하는 구성요소들로 모두 설치를 해도 무방하다. 이곳에서 설정하는 것은 윈도우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함이지, 이 구성요소들이 윈도우에 악영향을 주는 구성요소들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하자. 우측하단에 있는 호환성, 고급기능은 기본설정으로 놔두도록 하고 윈도우에 왠만큼 지식이 있는 사용자가 설정을 하더라도 가급적 오른쪽에 나오는 설명을 꼼꼼히 읽어보고 설정을 하는 것이 좋다.

▲ 무인 설치 화면

무인(無人) 설치에서는 말그대로 CD만 집어넣고 한번만 실행하면 그 이후에는 사용자가 컴퓨터 앞에 앉아 CD키 입력등을 안해도 된다. 무인 설치에서는 정보, 일반, 관리자, 네트워크, 지역, RunOnce, 디스플레이, 구성요소 등을 설정할 수 있는데, 정보~네트워크 까지 설정을 하는 것이 제일 무난하다. 처음 설정하는 정보 탭에서는 무인설치 모드를 선택해야 하는데, FullUnattended를 선택하고 그 다음 일반 탭을 선택하도록 하자.

▲ 무인 설치 - 일반 탭

무인 설치 일반 탭에서는 설치시 입력하는 제품 키 입력과 시스템 복구, Program Files 경로 등을 설정 할 수 있다. 윈도우 설치시 가장 귀찮은 부분이 아마도 제품 키 입력이 아닐까 생각되는데, 무인 설치기능을 이용하면 그런 불편함에서 해방될 수 있다. 일반 탭 - 기타 옵션에서 제공되는 이전 테마 사용, 이전 시작 메뉴 사용, 방화벽 끄기, 최대 절전모드 끄기 등은 이전 윈도우 운영체제의 테마, 시작 메뉴등을 사용하는 것이니 기본 상태로 놔두도록 하자.

▲ 무인 설치 - 관리자

무인 설치 - 관리자 탭에서는 Administrator 계정 설정 및 변경을 할 수 있다. 기본 계정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Administrator 계정 이름변경에서 사용자 설정을 선택하고 새로운 계정을 적으면 된다. 암호 표시, 자동 로그인, Blank Password(빈공간)등은 암호를 자동입력해 로그인 하거나 그냥 빈공간으로 놔두고 사용자가 직접 암호를 입력하는 설정을 할 수 있다. 암호는 반드시 잊지 말도록 하고, 부팅때마다 암호 적는게 귀찮다면 자동 로그인을, 보안에 신경을 쓴다면 Blank Password에 체크를 하도록 한다.

▲ 무인 설치 - 관리자

무인 설치 - 관리자 탭에서는 작업그룹과 컴퓨터 이름 도메인명 등을 입력한다. 작업그룹은 네트워크 공유를 할 때 필요한 항목이므로 적어두는 것이 좋다. 도메인은 네트워크 관리를 하지 않는 사용자라면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이외에 지역, RunOnce, 디스플레이, 구성요소 등은 기본 상태로 놔두고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도록 하자.

4.nLite 작업 선택 2

▲ 옵션화면

nLite 옵션에서는 설치하기 전 셋업할 가장 중요한 옵션들을 모아놓았다. 옵션은 일반/서비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변경할 항목을 선택한 후 버튼을 클릭 하고 사용/사용안함으로 선택하면 된다. 이해하기 힘든 항목은 건드리지 말고 'Press Any Key...'라는 부트 메시지 제거, 'Guest' 계정의 이름 변경, Windows 경로 변경등 비교적 간단한 항목들만 설정하는 것이 좋다. 변경된 항목들을 원상태로 복원하고자 할 때에는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면 모든 항목들이 다시 기본설정으로 돌아간다.

▲ 옵션 - 서비스

옵션 - 서비스에서는 윈도우에서 지원하는 제어판 - 관리도구 - 서비스의 항목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 항목들을 설정하려면 "시작"에 체크를 한후 항목을 두 번 클릭하면 된다. 설정을 기본 상태로 할려면 "초기화"를 클릭하면 된다. 이곳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Messenser 항목인데, 윈도우 사용시 스패머들이 보내는 광고 팝업창 차단 설정을 할 수 있다. 기본설정이 사용안함으로 되어 있어 윈도우가 설치된후 따로 관리도구 - 서비스에 가서 설정할 필요는 없다.

 

▲ 패치 화면

nLite 패치에서는 윈도우 레지스트리에서 설정할 수 없는 옵션들을 설정할 수 있다. TCP/IP 패치를 해서 최대 동시 접속수를 늘릴 수 있으며, USB 마우스를 좀더 부드럽게 움직이게 해주는 USB 풀링 주파수 설정, 윈도우 테마를 사용자가 마음대로 변경 할 수 있게 해주는 uxtheme.dll 패치, 시스템 파일과 폴더가 불법적으로 교체/삭제 됐을 때 자동 복구 기능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들 패치 중에 uxtheme.dll 패치는 상당히 유용하니 사용에 체크를 한 후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자.

▲ 트윅 화면

nLite 트윅에서는 윈도우의 수많은 숨겨진 레지스트리를 조율할 수 있는 옵션들을 지원한다. 지원하는 옵션들이 상당히 많으므로 몇가지만 추려서 따로 정리를 해봤다.


 Internet Explorer

구글 URL 검색 사용
인터넷 익스플로러 히스토리 목록 유지 기간 설정(최대 50일)
다운로드 완료 창 사용 안함
Outlook Express의 바로 가기 사용 안함
팝업 차단시 사운드 재생 안함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동시에 10개의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설정

 Window Media Player

MRU 사용 안함
라이브러리에 음악 자동 추가 안함
모든 우측 메뉴 항목 제거
미디어 가이드로 사용 안함
시각화 사용 안함
자동 라이센스 취득 사용 안함
전체화면 모드 최적화

 개인

드라이버 업데이트 확인 안함
로그 오프시 최근에 사용한 문서 지우기
시작 메뉴에서 최근 문서 제거 및 사용 안함
실행된 프로그램 기록 안함
알렉사 스파이웨어 제거
오류 보고 사용 안함

 내 컴퓨터

공유 문서 제거
관리 도구 추가
내 네트워크 환경 추가
네트워크 연결 추가
우측메뉴에 드라이브 정리/디바이스/서비스/소프트웨어/제어판 추가
휴지통 추가

 바탕화면, 작업 막대 및 시작 메뉴

인터넷 익스플로러 아이콘 숨기기
내 네트워크 환경/문서/컴퓨터/휴지통 아이콘 보이기 숨기기
바탕화면에 윈도우 버전 표시

 보안

클래식 로그온 (윈도우 2000 형식의 로그온)
윈도우 업데이트, 보안패치들을 프로그램 추가/삭제에 항상 표시
화면 보호기 사용안함

 비쥬얼 효과 사용 안함

마우스로 끄는 동안 창 내용 표시 안함
슬라이드 작업 표시줄 단추 사용 안함
창을 최소화하거나 최대화 할 때 애니메이션 사용 안함
폴더 유형별 백그라운드 이미지 사용 안함

 속도

깨진 바로가기에대한 추적 사용 안함
       (바로가기를 네트워크 드라이브에 두는 경우 유용함)
유휴 시간에 하드 디스크 최적화 사용 안함
       (시스템이 쉬는 동안 자동 조각 모음 유틸리티 실행)
파일과 폴더의 정보 도움말 사용 안함
       (많은 파일을 포함한 폴더를 열 때 속도가 향상됨)

 시작 메뉴

관리 도구를 추가 및 메뉴로 확장
기본 프로그램 설정 제거
내 그림/문서/음악 제거 및 내 컴퓨터를 메뉴로 확장
도움말 및 지원 제거
로그 오프 제거
시작 메뉴에서 윈도우 카탈로그 제거
첫 부트시 팝업 사용 안함
팝업 지연 줄이기

 작업 막대

윈도우 돌아보기 사용 안함
        (작업 표시줄에 윈도우 돌아보기 풍선 도움말이 나타나지 않음)
작업 표시줄의 입력 도구 모음 사용 안함
풍선 도움말 사용 안함

 탐색기

고정키 사용 안함
        (예: Shift 키를 5번 누르면 나타나는 고정키를 사용하지 않음)
모든 드라이브/폴더 우측 메뉴에 CMD 쉘(명령행)을 추가
모든 파일/폴더 보이기
        (탐색기내의 모든 파일, 시스템 폴더, 확장자를 볼 수 있음)
분리된 프로세서로 탐색기 실행
        (이 트윅 사용시 하나의 탐색기가 크래쉬 됐을 때 나머지 탐색기가 크래쉬 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음)
자동 실행 사용 안함
        (CD 삽입시 자동 실행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음)
주소와 제목 막대에서 완전한 주소 표시
휴지통 바로 삭제
        (파일을 삭제할 때 휴지통으로 이동하지 않고 바로 삭제)

 

▲ 모든 설정 적용중

위 화면은 이제까지 필자가 설정한 모든 변경상황을 설치본에 적용중인 화면으로, 적용 속도가 느리고 시스템이 버벅인다면 우선순위를 "높음" 으로 선택하기 바란다. 적용이 완료되면 설치본 용량과 감소된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 완료된 후의 파일 크기 및 감소된 용량 크기 확인

 ▲ 부팅 CD 이미지 만들기

이제 모든 작업의 종착역인 부팅 CD 이미지 만들기를 해보자. 이 작업 또한 매우 간단해서 ISO 만들기를 클릭한후 파일 이름과 폴더를 적어주면 된다. ISO 만들기 밑에 탐색 버튼은 CD에 파일/프로그램을 추가 하는 것으로, CD 용량이 남는다면 압축프로그램, WinAmp 같은 몇가지 필수 프로그램들을 포함시키는 것도 좋다. 이 경우에는 ISO 만들기 전에 먼저 추가해야 하는 것을 잊지 말자.

 

 ▲ 왼쪽 패널에서 오른쪽으로 파일/폴더를 드래그&드롭해서 추가 한다.

 

▲ ISO 만들기 - 폴더/파일 이름을 적은후 - 저장 선택

 ▲ ISO 파일 생성중

 ▲ ISO 파일 생성 완료

이제 윈도우 통합 설치 CD 파일이 만들어 졌다. 만들어진 ISO 이미지 파일은 네로 버닝롬과 같은 레코딩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레코딩을 하면 완벽한 통합 설치 CD가 된다.

5.쉬운 통합 설치 CD 제작

 지금까지 필자와 함께 nLite를 이용해 통합 설치CD 이미지를 만들어 봤다. 작업과정을 보면 알겠지만, nLite는 한글 인터페이스도 지원하고, 처음서부터 끝까지 마법사 방식으로 작업을 하므로 컴퓨터를 조금만 아는 사용자들이라도 쉽게 통합 설치CD를 제작할 수 있다.

nLite에서 제공되는 옵션들중 어려운 부분들도 있었지만, 모르는게 약이라는 옛말도 있듯이 어려운건 기본상태로 놔두고 서비스 팩, 무인 설치만 설정하고 이미지를 만들어도 충분하다. 이것만으로도 윈도우 설치시 번거로운 입력작업과 서비스팩 설치에서 해방될 수 있으니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필자가 리뷰 중간에도 언급했지만, nLite에서 설정하는 옵션들은 거의 윈도우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기능들이다. 따라서 통합 설치CD 이미지를 만들 때 이것저것 많이 수정해야 한다는 생각은 하지 않아도 된다.

끝으로 nLite를 평가해보면 프로그램의 편이성, 기능 모두 높은 점수를 줄 수 있으며, 옵션들마다 친절하게 한글로 설명을 해주므로 윈도우에 관심이 많은 국내 사용자가 설명을 보고 윈도우 레지스트리에 관련된 공부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발췌 : KBench [리뷰] 패치의 번거로움 탈출, 윈도우XP 통합CD를 만들자!   정상호